반응형
한국표준질병·사인분류(KCD)의 H60-H95 범주는 외이, 중이, 내이 및 유돌(귀 뒤쪽 뼈)에 발생하는 질환을 포함합니다. 귀는 청각과 평형을 담당하는 중요한 기관으로, 이비인후과에서 주로 다루는 질환들입니다.
반응형
1. 주요 분류 예시:
- H60-H62: 외이의 질환 (예: 외이도염, 다발성 외이농양)
- H65-H75: 중이 및 유양돌기의 질환 (예: 중이염, 이관 기능장애)
- H80-H83: 내이의 질환 (예: 메니에르병, 전정신경염)
- H90-H91: 청각장애 (감각신경성 난청, 전음성 난청 등)
- H93: 기타 귀 관련 증상 (예: 이명, 청각과민)
2. 주요 질환 소개
- H66 급성 중이염: 세균 감염으로 인한 고막 안쪽 염증, 소아에게 흔함
- H81 메니에르병: 어지럼증, 이명, 청력 저하가 반복되는 내이 질환
- H91 감각신경성 난청: 노화, 소음, 약물 등의 영향으로 청신경 손상 발생
- H93.1 이명: 외부 자극 없이 귀에서 소리가 들리는 증상
- H65 삼출성 중이염: 염증 없이 중이에 액체가 고이는 질환
3. 대한민국 보험 청구 가능 여부
대부분의 귀 질환은 국민건강보험의 적용 대상이며, 진단, 검사, 약물 및 수술 치료에 대해 보험 청구가 가능합니다.
보험 적용 가능 항목 예시:
- 청력검사, 평형기능검사, 고막 검사 등
- 중이염 및 이명 치료제 처방
- 고막 절개술, 환기관 삽입술, 인공와우 이식 수술 등
- 보청기 일부 비용 (보장성 보험 또는 지자체 지원 시)
단, 순수 보청기 구매, 선택형 고급 인공 와우 부품 등 일부 항목은 비급여로 실손보험 여부에 따라 보장 범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.
4. 치료 및 검사 비용 안내
(1) 검사 비용 (본인부담 기준)
- 순음 청력검사: 약 5천 ~ 2만원
- 이경 검사, 고막 사진촬영: 1~2만원 내외
- 전정기능검사(어지럼증 관련): 약 5~10만원
(2) 치료 및 수술 비용 (본인부담 기준)
- 중이염 약물치료: 월 1~3만원
- 고막 절개술: 5~10만원
- 인공와우 수술(급여 대상 시): 100만원 내외 (비급여 장비 포함 시 수백만 원 이상)
- 메니에르병 치료제 및 주사치료: 월 3~10만원
난청, 중이염 등 만성 질환의 경우 산정특례 적용 대상이 될 수 있으며, 어린이의 경우 보청기 지원이나 소아청력검사 무료 지원이 지자체별로 제공됩니다.
5. 주의사항 및 권고사항
- 귀 질환은 청력 손실, 평형감각 이상과 직결되므로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.
- 귀에서 통증, 이명, 어지럼증이 지속된다면 즉시 이비인후과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.
- 치료비 및 보험 적용 여부는 질환 유형, 병원 등급, 수술 방식에 따라 달라지므로 사전 확인이 필요합니다.
Disclaimer: 본 내용은 의료 정보 제공을 위한 참고 자료이며, 실제 진단 및 보험 청구는 전문 의료진 및 보험사 상담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참고:
- KCD(한국표준질병·사인분류) 관련 자료
- 국민건강보험공단 공식 자료
- 질병관리청 감염병 정보
올바른 약 구매 가이드
삼차 신경, 극심한 통증, 신경계 질환, 통증 관리, 신경 차단술, 미세혈관 감압술, 약물 치료, 신경학적 검사, 자가면역 질환, 수술적 치료, 대상포진, 신경통, 공황장애, 도파민, 파킨슨
kcd-data.com
'질병분류기호(KCDcord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00-J99] Ⅹ. 호흡계통의 질환(J00-J99) (2) | 2025.04.15 |
---|---|
[I00-I99] Ⅸ. 순환계통의 질환(I00-I99) (0) | 2025.04.15 |
[H00-H59] Ⅶ. 눈 및 눈 부속기의 질환(H00-H59) (0) | 2025.04.15 |
[G00-G99] VI. 신경계통의 질환(G00-G99) (0) | 2025.04.14 |
[F00-F99] Ⅴ. 정신 및 행동 장애(F00-F99) (0) | 2025.04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