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산정특례제도

[Q00-Q99] ⅩⅦ. 선천기형, 변형 및 염색체이상(Q00-Q99) KCD(한국표준질병·사인분류)의 Q00–Q99 범주는 출생 전부터 발생한 구조적, 기능적 이상 또는 유전적 결함을 포함하는 질환군입니다. 선천성 기형, 염색체 이상(예: 다운증후군), 기관계별 구조적 결함 등이 해당됩니다. 1. 주요 분류 예시:Q00-Q07: 신경계 선천기형 (무뇌증, 척수이분증 등)Q20-Q28: 선천성 심장기형 (심실중격결손, 대혈관전위 등)Q35-Q37: 구순열 및 구개열Q60-Q64: 비뇨생식기계 기형 (요도하열, 다낭신 등)Q90-Q99: 염색체 이상 (다운증후군, 터너증후군 등) 2. 주요 질환 소개Q21.0 심실중격결손(VSD): 심장의 좌우 심실 사이 벽에 구멍이 생긴 상태Q35 구개열: 입천장 부분이 갈라져 있는 상태로 발음 및 수유에 어려움 발생Q90 다.. 2025. 4. 16.
[M00-M99] ⅩⅢ. 근골격계통 및 결합조직의 질환(M00-M99) KCD(한국표준질병·사인분류)의 M00-M99 범주는 뼈, 관절, 근육, 힘줄, 인대, 결합조직 등에 발생하는 질환을 포함합니다. 관절염, 추간판장애, 류마티스질환, 근육통, 어깨충돌증후군 등 만성 근골격계 질환은 현대인에게 매우 흔한 질병입니다. 주요 분류 예시:M00-M25: 관절질환 (류마티스 관절염, 골관절염, 통풍 등)M40-M54: 척추 질환 (디스크, 요통, 경추증 등)M60-M79: 연부조직 질환 (근육통, 점액낭염, 힘줄염 등)M80-M94: 뼈와 연골 질환 (골다공증, 골연화증 등)M95-M99: 기타 근골격계 및 결합조직 질환 2. 주요 질환 소개M17 무릎 관절증(퇴행성 관절염): 노화나 과사용으로 무릎 연골이 닳아 발생M51 추간판장애(허리디스크): 추간판이 탈출하여.. 2025. 4. 15.
[L00-L99] ⅩⅡ. 피부 및 피하조직의 질환(L00-L99) KCD(한국표준질병·사인분류)의 L00-L99 범주는 피부와 피하조직에 발생하는 각종 염증성, 감염성, 알레르기성, 자가면역성 질환을 포함합니다. 일반적인 피부염부터 아토피, 건선, 피부 감염증, 두드러기, 탈모 등 다양한 질환이 포함됩니다. 1. 주요 분류 예시:L00-L08: 감염성 피부질환 (농가진, 모낭염, 봉와직염 등)L10-L14: 수포성 질환 (천포창 등)L20-L30: 피부염 및 습진 (아토피성 피부염, 접촉피부염 등)L40-L45: 홍반, 비늘증 및 건선L50-L54: 두드러기 및 발진L60-L75: 부속기관 질환 (탈모증, 손발톱 이상 등) 2. 주요 질환 소개L20 아토피성 피부염: 유전적 요인이 강하며 가려움증이 심하고 만성적으로 반복됨L30 접촉성 피부염: 화장품, .. 2025. 4. 15.
[K00-K93] ⅩⅠ. 소화계통의 질환(K00-K93) KCD(한국표준질병·사인분류)의 K00-K93은 입, 식도, 위, 장, 간, 췌장, 담낭 등 소화기와 관련된 질환을 포괄하는 분류입니다. 위염, 장염, 과민성장증후군, 간염, 담석증, 치질 등 일상에서 흔하게 접하는 질환부터 중증 소화기계 질환까지 포함됩니다. 1. 주요 분류 예시:K00-K14: 구강, 침샘 질환 (충치, 구내염 등)K20-K31: 식도, 위, 십이지장 질환 (위염, 식도염, 위궤양 등)K50-K52: 장 질환 (크론병, 과민성 장증후군, 궤양성 대장염 등)K70-K77: 간 질환 (지방간, 간염, 간경변 등)K80-K87: 담낭, 췌장 질환 (담석증, 췌장염 등)K90-K93: 기타 소화기 질환 (흡수장애, 기타 소화기 이상 등) 2. 주요 질환 소개K29 급성 위염: .. 2025. 4. 15.
[J00-J99] Ⅹ. 호흡계통의 질환(J00-J99) KCD(한국표준질병·사인분류)에서 J00-J99는 비강, 인후, 후두, 기관, 기관지, 폐 등 호흡기와 관련된 모든 질환을 포함합니다. 감기와 같은 경증 질환부터 폐렴, 천식, 만성폐쇄성폐질환(COPD), 폐암 등 중증 질환까지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습니다. 1.주요 분류 예시:J00-J06: 상기도 감염 (감기, 인후염 등)J09-J18: 독감 및 폐렴J20-J22: 급성 하기도 감염 (기관지염 등)J30-J39: 기타 상기도 질환 (비염, 편도염 등)J40-J47: 만성 하기도 질환 (COPD, 천식 등)J80-J84: 폐의 기타 질환 (섬유화,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등) 2. 주요 질환 소개J00 급성 비인두염 (감기): 가장 흔한 호흡기 질환으로 바이러스성 감염에 의해 발생J18 폐.. 2025. 4. 15.
반응형